페이지

2013년 1월 31일 목요일

우세손의 정의와 분류에 대하여



















우세손의 정의는 무엇인가?
[힘이 센 손]인가, [미세한 조작을 잘 하는 손]인가?

글씨와 그림은 왼손으로, 가위질은 오른손으로 하는 아이가 있다.
이 아이의 우세손은 무엇인가.
우세손을 알아야 할 필요성은 무엇인가.

우세손은 주로 힘이 센 손이라 생각되어왔는데, 80-90년대 연구들에서는 오른손은 우세손의 장악력이 약 10%정도 세지만, 양손잡이와 왼손잡이의 경우 우세손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결과를 보고함에 따라 우세손이 무조건 힘이 센 손이라는 주장은 증명되지 못했다. 그 연구에 대한 가장 큰 논쟁부분은 우세손이 정확이 무엇이며, 어떻게 왼손잡이와 양손잡이를 구분할 것이냐 하는 점이었다. 우세손을 구분짓는 평가방법도 다양하고, 문화의 영향도 받다보니, 방법에 따라 왼손잡이가 되기도 하고, 양손잡이가 되기도 하는 차이는 약 10-20% 정도가 된다. 

임상적으로 어느 정도 정의하기로는 우세손은 ‘활동과 작업에 주되게 사용하며 조작하는 손’이고, 비우세손은 ‘활동을 위해 물건을 받치고 지지하는 손’이라 한다. 대체로 오른손이 우세손인 경우는 이 부분이 일치하는 것 같다. 그런데, 오른손이 우세손이 아닌 사람의 경우에는 꼭 이 정의가 맞는 것은 아닌 듯하다. 

  • 오른손잡이(Right-handedness) :확실히 오른손을 잘 사용하는 사람
  • 왼손잡이(Left-handedness) : 확실히 왼손을 잘 사용하는 사람
  • 양손잡이(Mixed-handedness) : 어떤 과제는 오른손을, 어떤 과제는 왼손을 잘 사용하는 사람
  • 두손잡이(Ambidexterity) : 과제에 대한 양손의 사용기술차이가 없는 사람 (매우 드물다)
이렇게 네 가지로 해 놓고 있다.

우세손이 오른손인 사람은 인구의 약 70-90% 정도이며, 나머지 10-30%는 위 분류의 세 가지에 해당하는 사람이라 볼 수 있는데, 이렇게 우세손이 나뉘는 원인으로 가장 많이 받아들여지는 것은 언어중추가 왼쪽 또는 오른쪽에 자리잡아 뇌의 사용이 보다 효율적으로 좌우반구의 분화가 된 경우에 우세손이 정확히 나눠지고, 양측 반구의 분화가 잘 이뤄지지 않은 경우 우세손이 정확히 나눠지지 않았을 것이라는 뇌신경학 이론이다. 
거기에 덧붙여, 다수인 오른손잡이의 문화에서 왼손잡이인 사람들은 양손잡이가 될 사회문화적 영향력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주장도 일리가 있다. 거기에 덧붙여 손만이 아니라 다리, 눈, 귀의 우세측의 정도를 정의하고 분석하려면 꽤나 복잡한 결과가 나올 것 같다. 
나는 오른손잡이다. 그런데, 피아노를 칠 때 왼손부분의 가락을 오른손으로 칠 때 어색하다. 왼발을 딛고 설 때 더 잘 서 있지만 발로 차는 건 오른발을 더 잘 사용하고, 왼쪽 눈이 더 잘 보인다.  

왜 이 이야기를 하게 되었는가 하면, 결국 타고난 기질이 있고, 사회 문화 안에서 활동을 하는 과정을 통해 왼손으로 하던, 오른손으로 하던, 그 모습이 상당히 다양하다는 주장을 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왼손을 사용하는 것이 보기에 안 좋으니까 오른손을 사용하라고 한다거나, 대다수가 사용하는 신체를 두고 방법까지 매뉴얼화 해서 ‘바른 손’, ‘바른 발’, ‘바른 자세’라는 말을 사용하는 동안 타고나기를 왼손잡이, 양손잡이, 두손잡이인 사람들이 혼동을 겪는 것은 신체에서 그치지 않고 정체성과 사회문화적인 방면까지 가지를 치게 된다. 

나는, 이 사진의 아이가 수업시간에 과학 도구로 분자 조립을 잘 하는 것을 보았다. 분명히 손가락의 움직임은 어눌한 편이어서 수업 시간에 활동참여를 잘 못할 것이라고 ‘관찰하기 전’에 먼저 짐작했었는데, 수업 시간에 자기 나름대로의 방법대로 활동을 하고 있었다. 전문가라면서 어설프게 아는 지식을 그냥 짐작하는 데 적용하여 사람잡는 선무당이 될 뻔한 것이었다. 

잘 생각해야한다. 아는 것이, 다가 아니라는 것을. 일부만 아는 것일 뿐이고, 대부분은 모르는 것이기 때문에 결론은 ‘직접 그 사람이 살고 행동하는 모습을 보고 배우는 것 이 최선’이라고 내리게 된다. 장애나 제한을 갖고 있지만, 자신만의 노력과 생각으로 활동을 하는 분들의 방법 중 어떤 것들은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